반응형

Database 6

데이터베이스 인덱스(Index) 최적화 방법

Overview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Index)는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요소다.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는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며, 어떤 인덱스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쿼리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구조별 특징을 비교하고, 실제 환경에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인덱스 튜닝 전략을 알아본다.그리고 효율적인 인덱스 설계 방법과 인덱스 힌트(Index Hint), 그리고 쿼리 성능 분석을 위한 실행계획(Explain)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데이터가 커지고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데이터 접근 속도가 전체 애플리케이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그만큼 인덱스는 빠른 데이터 검색과 성능 최적화에 필수적인 요소다.          인덱스(Index..

Database 2025.03.21

DB 샤딩(Sharding): 개념 및 동작방식

Overview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샤딩(Database Sharding)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샤딩은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법이며,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는 기술이다.         DB 샤딩(Sharding)이란?데이터베이스 샤딩은 매우 큰 데이터베이스를 샤드라고 하는 더 작고, 빠르고, 관리하기 쉬운 부분으로 분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파티셔닝 유형이다. 샤드라는 단어는 전체의 작은 부분을 의미한다.각 샤드는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샤드가 집합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샤딩은 모놀리식 데이터베이스 설정보다 데이터 증가 및 관련 로드를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확장성 솔루션으로 사용된다.  ..

Database 2024.05.10

PostgreSQL 개념 및 특징(with MySQL)

Overview오늘은 PostgreSQL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특징과 MySQL과의 비교, 시퀀스(Sequence)와 자동 증가(AUTO_INCREMENT), 그리고 기본적인 PostgreSQL 문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PostgreSQL이란?PostgreSQL(일명 Postgres)은 고급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으로, 30년 이상 개발되어 높은 안정성과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PostgreSQL은 데이터 무결성과 확장성을 강조하며, 단일 시스템에서부터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 및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PostgreSQL 특징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

Database 2024.03.29

MongoDB란?

Overview오늘은 MongoDB에 대해 알아보고, NoSQL 개념, RDBMS와의 차이점, MongoDB의 주요 특징 및 샤딩(Sharding) 방식 등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MongoDB란?MongoDB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로,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보다 더 유연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MongoDB는 "humongous"에서 유래된 단어로, "거대한"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MongoDB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음을 나타낸다.       What is NoSQL? 그렇다면 NoSQL이란 무엇일까?NoSQL이란 "Not Only SQL"의 약자로,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안적인 데..

Database 2023.05.20

DB 스키마란?(Schema)

Overview오늘은 DB 스키마(Database Schema)에 대해 공부해보겠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 관계 및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설계도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고, 연결되며, 관리되는지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DB 스키마의 개념과 주요 아키텍처, 스키마와 인스턴스의 차이점, 스키마 변경 및 성능 최적화 방법 등을 다룬다.  📌 주요 내용DB 스키마의 정의 및 역할외부/개념/내부 스키마의 차이점DB 스키마와 테이블 스키마 비교스키마 설계 시 고려할 요소 (정규화, 인덱스, 트랜잭션)스키마 변경(Migration) 및 성능 최적화 방법  DB 스키마를 효과적으로 설계하면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관련 ..

Database 2023.04.21

Mariadb란? (사용법)

Overview오늘은 MariaDB에 대해 알아보고, 설치 및 사용법, 계정 관리, 백업 및 복구, 최적화 및 유지보수 방법까지 실습을 통해 학습하려고 한다.        Mariadb란? MariaDB는 MySQL의 Fork로 등장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ariaDB는 2009년 Oracle Corporation의 MySQL 인수에 대한 우려 이후 MySQL의 최초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졌다. GNU GPL에서 무료로 유지되고 MySQL과 긴밀한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MariaDB는 MySQL과 다른 기능과 개선 사항을 갖춘 자체 ID를 개발했다.  처음에는 MariaDB는 MySQL을 즉시 대체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애플리케..

Database 2022.01.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