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 커뮤니티 후기/Cloud Security 교육 9

9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9주차 Object : 전체적인 Public Cloud 보안 자료를 정리하여 LinkedIn 프로필 업로드하여 취업에 활용 Key Result : 최종 문서를 통합정리하여 github 및 LinkedIn에 포트폴리오 업로드 10:00 - 10:20 = 근황 토크 & 멘티끼리 서로 가르쳐 주기 (과제 요약하여 발표 // 과제 토론 1회, 주제 토론 1회) & 과제 피드백 10:25 - 10:45 = 클라우드 보안 최종 정리 10:50 - 11:10 = 클라우드/네트워크 인터뷰 정리 11:15 - 11:35 = AI 스칼라 팀장님 금융 강의 11:40 - 12:00 = 앞으로 방향성 출처: https://twodragon.tistory.com/585?category=439388 [Twodragon] 드디어 ..

8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8주차 Object : 컨테이너 네트워크를 이해하여 도커 및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환경 파악 Key Result :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실행 후 네트워크 구조 파악하고, Minikube를 활용하여 Kubernetes 네트워크 파악 (1~2Page 문서 +1Page 결과 스크린샷) 10:00 - 10:20 = 근황 토크 & 멘티끼리 서로 가르쳐 주기 (과제 요약하여 발표 // 과제 토론 1회, 주제 토론 1회) & 과제 피드백 10:25 - 10:45 = 컨테이너 네트워크 10:50 - 11:10 = Docker Swarm와 Kubernetes 개요 11:15 - 11:35 = Docker Swarm와 Kubernetes 활용 11:40 - 12:00 = 9주차 과정을 위한 전체 복습 출처: https:/..

7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bject : 컨테이너를 이해하여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파악 Key Result :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실행 후 구조 파악하고, Minikube를 활용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 (1~2Page 문서, Container 실습은 압축파일 첨부) 7주차 주제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실행 후 구조 파악하고, Minikube를 활용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 (1~2Page 문서, Container 실습은 압축파일 첨부) 10:00 - 10:20 = 근황 토크 & 멘티끼리 서로 가르쳐 주기 (과제 요약하여 발표 // 과제 토론 1회, 주제 토론 1회) & 과제 피드백 10:25 - 10:45 = VM vs Container vs Kubernetes 개요 10:50 - 11:10 = Dock..

6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bject : 전체적인 AWS/Azure 자료를 통합하여 퍼블릭 클라우드 보안 문서화 Key Result : 지금까지 AWS/Azure 작성한 문서를 통합하여 정리 (6~10Page 문서) 6주차 주제 : 전체적인 AWS/Azure 자료를 통합하여 퍼블릭 클라우드 보안 문서화 10:00 - 10:20 = 근황 토크 & 멘티끼리 서로 가르쳐 주기 (과제 요약하여 발표 // 과제 토론 1회, 주제 토론 1회) & 과제 피드백 10:25 - 10:45 = Public Cloud 솔루션 10:50 - 11:10 = CSPM&CWPP 개요 11:15 - 11:35 = CSPM 분석 & 활용 11:40 - 12:00 = 7주차 과정 이해를 위한 필수적인 실습 출처: https://twodragon.tistory...

5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bject : ELK 또는 Splunk를 파악하여 클라우드 모니터링 및 대응 방안 이해 Key Result : AWS, Azure 로그 수집하여 Splunk, ELK로 어떤 로그 구문을 분석해야 하는지 정리 (1~2Page 문서) 5주차 주제 : ELK 또는 Splunk를 파악하여 클라우드 모니터링 및 대응 방안 이해 1. EL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ELK는 3가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Elastic Search, LogStash, Kibana의 조합을 말합니다. 각 제품이 연동되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툴로서 동작합니다. 2. Splunk Splunk는 로그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추출하는 대용량 로그 수집/분석 시스템이다. 2. 로그 분석 사례(ELK..

4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4주차 과제 Object : 전체적인 Azure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 Key Result : Azure 환경에서 VM, Blob, AD 및 IAM을 구성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Azure 보안이슈와 대응방안 정리 (1~2Page 문서, 실습 파일 첨부) 4주차 주제 : 전체적인 Azure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 1. Azure 아키텍처 파악(VM, Blob, AD) 1) VM AWS에 EC2와 동일한 서비스로 컴퓨터 가상 H/W를 빌려와 실제 컴퓨터와는 독립적인 컴퓨터 환경을 구현하는 것 실습 URL : https://somaz.tistory.com/46 2) Blob AWS S3와 동일한 서비스로 클라우드를 위한 Microsoft의 개체 스토리지 솔루션 실습 URL: https://s..

3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bject : 전체적인 AWS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 Key Result : AWS 환경에서 EC2, S3, IAM 구성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AWS 보안이슈와 대응방안 정리 (1~2Page 문서, 실습 파일 첨부) 3주차 주제 : 전체적인 AWS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 1. AWS 아키텍처 파악(EC2, S3, IAM) 1) EC2 Ubuntu 20.04 프리티어로 진행, 보안그룹에 SSH, HTTP, HTTPS, NodeJS, MySQL 추가 키 페어 생성(Somaz.pem), Elastic IP 생성 및 연결 PuttyGen 실행 후 pem 키를 Load 한 후 ppk키 다운 Putty에 퍼블릭 IP 주소 입력 후 SSH-Auth-Key에 키 Browse 후 접속 실습 URL :..

2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2주차 과제 Object : 기존 네트워크와 Cloud의 차이점을 이해하면서 AWS, Azure, GCP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는 수준 Key Result : AWS, Azure 구조를 기존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문서로 정리 (1~2Page 문서에 그림파일 첨부) 1. 온프레미스(On-premise)와 클라우드(Cloud) 비교[1] 1) 온프레미스(On-premise) - 원격 시설이 아니라 서버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해서 쓰는 방식 2) 클라우드(Cloud) - 온프레미스와 반대가 되는 개념으로 소프트웨어나 서버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 사용료를 지불하고 빌려서 쓰는 방식 -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들고 빠르게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 - 고객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산정하여 서버를 도입했던 과거와..

1주차 과제 및 수업 내용

1주차 과제 Object : 클라우드 전체 구조 및 서비스 파악을 통해 클라우드 이해 Key Result : 각 클라우드 서비스사례 3개 이상 조사하고 IaaS, PaaS, SaaS 서비스 구조 파악 (1Page 문서) 1. 클라우드 전체 구조 및 서비스 파악을 통해 클라우드 이해 1) 클라우드 서비스 - 인터넷으로 가상화된 IT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서비스 종류 및 사례 ①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물리적 자원 제공 -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 - 올원뱅크 네이버클라우드의 금융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 NCP 금융존은 금융보안원 안정성 평가를 충족한 금융전용 클라우드 서비스이며, NCP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