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13

리눅스 Swap 메모리란?

OverviewLinux 스왑 메모리는 시스템의 물리적 RAM(Random Access Memory)이 완전히 활용될 때 사용되는 디스크 공간이다. 이는 RAM의 오버플로 영역 역할을 하여 실행 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를 수용하기에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도 운영 체제가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Swap 메모리란?스왑 공간은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예약된 스토리지 드라이브(예: SSD 또는 HDD)의 일부이다. 디스크 I/O 작업이 포함되므로 실제 RAM보다 느리지만 RAM이 과도하게 커밋되면 대체 기능을 제공한다.​  Swap 작동방식응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에 사용 가능한 RAM보다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한 경우 Linux는 비활성 메모리 페..

Linux 2024.11.19

리눅스 커널이란?(Linux Kernel)

Overview리눅스 커널은 운영 체제의 핵심이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중요한 계층이다. 커널은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장치 관리 및 네트워크 스택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안정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리눅스는 모놀리식 커널(Monolithic Kernel) 구조를 채택하여 대부분의 핵심 시스템 기능을 하나의 대형 바이너리 내에서 실행한다. 이는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모듈성을 일부 희생하는 방식이다. 반면 마이크로커널(Microkernel) 방식은 커널 기능을 최소화하고, 운영 체제의 주요 기능을 사용자 공간에서 실행함으로써 모듈성을 극대화하지만 성능 측면에서 다소 손해를 본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커널의 주요 역할과 구조, 핵심 기능, 그리고..

Linux 2024.11.12

Vim 개념 및 사용가이드

Overview이 글에서는 강력한 텍스트 에디터인 Vi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Vim은 Vi 에디터를 기반으로 하며, 모드 기반 편집, 강력한 키보드 명령어, 유연한 플러그인 확장성, .vimrc 설정을 통한 커스터마이징 등을 통해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Vim의 모드 구조(Normal, Insert, Visual, Command-line)를 이해하고, 단축키 조합 및 플러그인 활용법,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vimrc` 설정 예시 등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입문자부터 중급 사용자까지 Vim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 관련 글2024.05.07 - [Linux] - Vim 개념 및 사용가이드2024.05.08 - [유용한 IT Tool]..

Linux 2024.05.14

리눅스 명령어 3. sed, awk란?

Overview이번 글에서는 Unix/Linux 환경에서 강력한 텍스트 처리 도구인 sed와 awk 명령어에 대해 정리하였다. 두 명령어는 텍스트 편집, 패턴 검색, 데이터 가공 및 자동화 등에 폭넓게 활용되며,로그 분석, 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운영 스크립트 등 다양한 실무 영역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sed(Stream EDitor)는 주로 파일이나 표준 입력에서 줄 단위 문자열 치환, 삭제, 삽입 등 텍스트 변환 작업에 활용되며,awk는 열(column) 기반의 패턴 매칭 및 조건 처리, 보고서 생성에 최적화된 언어로, 복잡한 텍스트 파싱에 강점을 가진다.  실습을 통해 sed와 awk의 기본 사용법부터 `/etc/passwd, df -h, example.txt` 파일을 활용한 실전 예제까지 다뤄보..

Linux 2024.01.20

리눅스 명령어 2. jq란?

Overview이번 글에서는 JSON 데이터를 다루는 데 특화된 커맨드라인 도구인 jq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대 개발 환경에서 JSON 포맷은 API, 로그, 설정 파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표준처럼 사용되며,jq는 이러한 JSON 데이터를 터미널 상에서 효율적으로 필터링, 가공, 추출하는 데 핵심적인 도구이다.jq는 가볍고 빠르며 설치가 간편한 JSON 파서 및 필터 도구이다.복잡한 JSON 구조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거나, 맵/조건/변환 작업을 간단한 문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실무에서 API 응답 처리, 로그 필터링,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등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jq란?jq는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커맨드라인 기반의 프로그램이다.JSON 데이..

Linux 2024.01.19

리눅스 명령어 1. xargs란?

Overview이번 글에서는 `xargs` 명령어에 대해 알아본다.`xargs` 는 표준 입력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명령어의 인자로 변환해주는 유닉스/리눅스 유틸리티다. 주로 `find, grep, ls` 같은 명령어와 결합해 대량의 파일이나 데이터에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특히, 공백·개행·특수문자가 포함된 파일명 처리, 병렬 처리 기능(`-P`)까지 지원하여 효율적인 대량 작업 자동화에 매우 적합하다.이번 포스트에서는 `xargs` 의 기초적인 사용법부터,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고급 기법들까지 폭넓게 다룬다.             xargs란?xargs는 표준 입력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그 데이터를 명령어의 인자로 전달하는 유닉스 및 리눅스 명령어 유틸리티이다. 일반적으로 x..

Linux 2024.01.16

chattr & lsattr란? (파일 속성 관리 명령어)

Overview오늘은 리눅스 파일 속성 관리 명령어 chattr, lsattr에 대해 알아보겠다.  파일 속성(attribution)은 파일 자체의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개념으로, 퍼미션(permission)과는 다르다.  퍼미션이 사용자에 따라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 반면, 속성은 파일 자체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여 심지어 파일 소유자도 삭제하지 못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강력한 보안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chattr란?chattr(change attribute)은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속성을 변경하여 보호하는 명령어이다. 특정 파일을 삭제하지 못하게 하거나, 내용 추가만 허용하는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chattr [옵션] [+,-,= 속성] [파일명]      ..

Linux 2022.07.25

CentOS 7 / 계정에 sudo 권한 주기 / bash-4.2$

Overview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보안 및 관리 편의를 위해 일반 사용자 계정과 root 계정을 구분한다.기본적으로 root 계정은 시스템의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고 관리자 계정이며, 보안상 일반 사용자에게 root 권한을 직접 부여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특정 명령어를 root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sudo 권한 부여이다.  이번 가이드에서는특정 사용자에게 sudo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sudo 그룹을 활용하여 여러 사용자에게 sudo 권한을 일괄 부여하는 방법계정 생성 후 발생하는 bash-4.2$ 문제 해결 방법 을 다루어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인 계정 관리 방법을 알아본다.          1. 특정 사용자에게 sudo 권한 부여 1) root ..

Linux 2022.04.28

Django(Linux)

OverviewDjango는 Python으로 개발된 강력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빠르고 안정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MVT(Model-View-Template) 패턴을 따른다.본 문서에서는 Django의 개념, 환경 설정, 프로젝트 생성, 실행 방법, 도메인 설정 등에 대해 다룬다.Django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치부터 실행까지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 문서를 통해 배우는 내용Django 개념 이해Python 및 Django 설치Django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ALLOWED_HOSTS 설정 및 방화벽 등록심볼릭 링크 설정 및 도메인 연결이제 Django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직접 환경을 구성해보자!        ..

Linux 2022.02.16

LVM(Logical Volume Manager) 개요 및 실습

Overview이 글에서는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과 설정 방법을 다룬다.LVM을 사용하면 HDD(또는 SSD)의 공간을 논리적으로 관리하여 확장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1. LVM이란?LVM(Logical Volume Manager)은 물리적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이를 통해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저장 공간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소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LVM의 주요 특징특징설명쉬운 관리기존 파티션 방식보다 더 유연한 관리 가능논리적 저장소 접근실제 물리적 디스크가 여러 개라도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사용 가능확장성스토리지 공간을 필요할 때마다 동적으로 확장 가능데이터 보안 및 효율성데이터..

Linux 2022.02.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