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 커뮤니티 후기 43

<인프런> 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 - No.3 VM vs Container

Overview이번 시간에는 VM(Virtual Machine)과 Container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두 기술 모두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분리된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상화 방식이지만,구조와 목적, 장단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특히 최근 클라우드와 DevOps 환경에서 경량화된 배포와 빠른 실행이 중요한 요소가 되면서컨테이너(Container)가 주목받고 있다.그럼 두 기술의 차이를 구조부터 성능, 보안까지 자세히 비교해보자.       VM vs ContainerVM은 Host OS 위에 가상화시켜 주기 위한 Hypervisor, virtul box 등이 올라 간다. 그 위에 Guest OS를 올려서, 여러 VM들을 만들어서 Applicatin, Serivc..

<인프런> 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 - No.2 Why Kubernetes

Overview오늘은 "왜 Kubernetes를 사용하는가?"에 대해 공부해보려 한다.Kubernetes는 단순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를 넘어서, 서비스 운영 환경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핵심 인프라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Auto Scaling, Auto Healing, 무중단 배포(Deployment) 기능을 통해 개발·운영팀의 부담을 줄여주고, 효율적인 자원 운영으로 비용 절감 효과까지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Kubernetes가 실제 운영 환경에서 어떤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고, 그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살펴본다.      1. Why Kubernetes 운영환경이 편리해지고 서비스 효율이 증가하게 되고 서비스 효율로 인해 서버가 적어지면 그만큼 유지보수 비용이 적어지..

<인프런> 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 - No.1 Content

Overview 저는 지금 쿠버네티스와 오픈스택 관련 업무를 하고 있다. 일을 하며,  기본적인 명령어나 구조에 대해 알아가고 있다. 공부를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이 강좌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 ~ 중급] 편이다. https://www.inflearn.com/   Contents1. Why Kubernets?2. VM vs Container3. Getting started - Kubernetes4. Kubernetes Overview5. ObjectPod [Container, Lable, Node Schedule]Service [ CluserIP, NodePort, LoadBalancer]Volume [emptyDir, HostPath, PV/PVCConfigMap..

데보션 전문가와 함께 식사해요(후기)

Overview 오늘은 ' 데보션 전문가와 함께 식사해요 ' 이벤트 후기를 남겨보려고 한다. https://devocean.sk.com/ 데보션 (DEVOCEAN) 기술 블로그데보션 (DEVOCEAN) 기술 블로그 , 개발자 커뮤니티이자 내/외부 소통과 성장 플랫폼devocean.sk.com 후기 먼저 ' 데보션 전문가와 함께 식사해요 '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게 기회를 주신 지기님께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SKT Tech HR Team 에서 근무하시는 김상기님, Kubernetes Korea Group 커뮤니티 리더이며, CNCF Speaker Bureau 에 등록된 공식 CNCF Speaker 이신 안승규님과 식사를 하며 지금 하시고 있는 일에 대한 얘기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내가 하고 ..

Cloud Security 9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9주차 회고 및 마무리 Object전체적인 Public Cloud 보안 자료를 정리하여 LinkedIn 프로필에 업로드해 취업에 활용  Key Result최종 문서를 통합 정리하여 GitHub 및 LinkedIn 포트폴리오로 업로드 완료    9주차 수업 구성10:00 ~ 10:20 : 근황 토크 & 멘티 간 지식 공유 (과제 요약 발표 / 주제 토론 / 피드백)10:25 ~ 10:45 : 클라우드 보안 최종 정리10:50 ~ 11:10 : 클라우드 & 네트워크 면접 정리11:15 ~ 11:35 : AI 스칼라 팀장님 금융 보안 강의11:40 ~ 12:00 : 수료 이후 방향성 및 커리어 로드맵 공유출처: Twodragon 블로그   회고9주차 강의를 끝으로 클라우드 시큐리티 교육 과정이 마무리되었다.그..

Cloud Security 8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verview8주차 주제는 "컨테이너 네트워크 구조 이해 및 Docker/Kubernetes 네트워크 환경 파악"이었다.이번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가 네임스페이스(namespace)를 기반으로 독립된 네트워크 공간을 갖는 구조, 그리고 veth pair를 이용해 호스트와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 실습과 함께 학습할 수 있었다. Docker에서는 `bridge, host, none, container` 등 다양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제공하며, 기본적으로는 `bridge` 모드에서 각 컨테이너가 `docker0` 브릿지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Kubernetes에서는 하나의 Pod 내부 컨테이너들이 pause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동일한 IP 공간을 공유하며, 싱글 노드/멀티 노드 환경에서 Pod 간 통신 ..

Cloud Security 7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verview7주차 주제는 “컨테이너를 이해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이었다.이번 과정에서는 컨테이너의 개념과 Docker 기반 실습을 통해 Container 가상화 구조에 대한 이해를 다지고,이를 바탕으로 Kubernetes 아키텍처의 동작 방식과 Minikube를 활용한 실습까지 폭넓게 학습할 수 있었다. 특히 VM과 Container의 차이, Docker Compose를 통한 멀티 컨테이너 자동화 구성, 그리고 Kubernetes 아키텍처의 핵심 개념까지 학습하며컨테이너 기반 인프라를 운영하기 위한 실전 감각을 익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7주차 주제: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 이해 및 Kubernetes 실습 Object컨테이너를 이해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

Cloud Security 6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verview6주차의 주제는 "전체적인 AWS/Azure 자료를 통합하여 퍼블릭 클라우드 보안 문서화"였다.이전 1주차부터 5주차까지 정리해온 AWS, Azure 보안 관련 학습 내용을 한데 모아 통합 문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고,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전략 전반을 되돌아보는 중요한 정리 단계였다. 이번 시간에는 특히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HIPS), CSPM (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그리고 CWPP (Cloud Workload Protection Platform)에 대한 개념과 도입 배경, 활용 방안 등을 학습하며클라우드 보안 아키텍처를 보다 실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6주차 주제: Public Cloud 보안 통합 문서..

Cloud Security 5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verview5주차 주제는 “ELK 또는 Splunk를 활용한 클라우드 로그 수집 및 분석”이었다.이번 과정에서는 AWS 및 Azure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로그들을 수집하고,이를 ELK Stack이나 Splunk를 활용해 어떻게 분석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학습했다.  특히 ELK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강력한 분석 도구이며, Splunk는 기업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로그 분석 플랫폼으로써 실시간 탐지와 시각화에 탁월하다.  클라우드 보안에서 가시성 확보와 이상 징후 탐지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이번 학습을 통해그 기반이 되는 로그 수집 및 탐지 방식에 대해 실무에 가까운 시나리오와 함께 경험할 수 있었다.        5주차 주제: ELK & Splunk를 활..

Cloud Security 4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Overview4주차 주제는 “전체적인 Azure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였다.이번 과정에서는 Microsoft Azure 환경에서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 리소스인 VM, Blob Storage, AD(IAM) 등에 대해 학습하고,이와 함께 실제 Azure 환경에서 발생했던 보안 이슈 사례와 대응 방안까지 폭넓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AWS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Azure Sentinel과 WAF(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기능을 통한 보안 모니터링 및 대응 전략까지 다루며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현실적인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수업이었다.        4주차 주제 : 전체적인 Azure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이해 Object전체적인 Azure 아키텍처를 파악하고 보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