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7주차 주제는 “컨테이너를 이해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이었다.
이번 과정에서는 컨테이너의 개념과 Docker 기반 실습을 통해 Container 가상화 구조에 대한 이해를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Kubernetes 아키텍처의 동작 방식과 Minikube를 활용한 실습까지 폭넓게 학습할 수 있었다.
특히 VM과 Container의 차이, Docker Compose를 통한 멀티 컨테이너 자동화 구성, 그리고 Kubernetes 아키텍처의 핵심 개념까지 학습하며
컨테이너 기반 인프라를 운영하기 위한 실전 감각을 익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7주차 주제: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 이해 및 Kubernetes 실습
Object
컨테이너를 이해하여 Kubernetes 아키텍처 파악
Key Result
컨테이너 명령어를 활용한 구조 파악 및 Minikube로 Kubernetes 구조 실습
(1~2Page 문서, 실습은 압축파일 제출)
7주차 수업 구성
시간 | 내용 |
10:00 ~ 10:20 | 근황 토크, 과제 발표 및 멘티 간 피드백 |
10:25 ~ 10:45 | VM vs Container vs Kubernetes 개요 |
10:50 ~ 11:10 | Docker Compose 개요 강의 |
11:15 ~ 11:35 | Docker & Compose 실습 |
11:40 ~ 12:00 | 8주차 수업을 위한 사전 실습 |
출처: Twodragon 블로그
실습 및 이론 요약
Container & Docker
Container
- 프로세스 격리 기술을 통해 가볍고 빠르게 동작
- VM과 달리 OS 전체를 가상화하지 않고 커널 공유 방식 → 성능 손실 최소화
Docker
-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
- Image: 불변의 실행 패키지
- Container: 이미지 기반 실행 인스턴스 (동적 상태 존재)
- 같은 이미지로 여러 컨테이너 실행 가능
관련 실습: CentOS 기반 Docker 실습
관련 실습: Ubuntu + Docker + Portainer 설치

Kubernetes 개요 및 아키텍처
개념
- 컨테이너 기반 워크로드를 배포/확장/운영/자동화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 Pod 단위 관리, 서비스 발견(Discovery), 자가복구(Auto-Healing), 수평 스케일링 등 지원

특징
- 다양한 배포 방식 지원: Deployment, StatefulSet, Job, DaemonSet, CronJob
- Ingress: 여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진입점 역할
- Auto Scaling, 네임스페이스 기반 멀티테넌시, LoadBalancer IP 할당 등 유연한 자원 관리 가능

관련 실습: Kubernetes 개념 & Minikube 실습

VM vs Container vs Kubernetes
구분 | Virtual Machine (VM) | Container | Kubernetes |
구조 | 하이퍼바이저 위에 Guest OS 전체 실행 | OS 공유 방식으로 격리된 환경 | Pod 단위 컨테이너 관리 |
오버헤드 | 무겁고 느림 | 가볍고 빠름 | 대규모 운영 자동화 지원 |
관리 단위 | VM 단위 | 컨테이너 단위 | Pod, Node, 클러스터 단위 |
활용 예시 | 윈도우 + 리눅스 혼합 운영 | Dev/QA 환경, CI/CD 파이프라인 | 마이크로서비스 운영 환경, 클러스터 기반 서비스 |
Docker Compose 개요 및 활용
Docker Compose란?
- 여러 컨테이너로 구성된 서비스를 한 번에 정의하고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툴
docker-compose.yml
파일을 기반으로 실행 흐름을 통합 관리
실행 단계
- 각 컨테이너용 Dockerfile 정의
docker-compose.yml
로 전체 서비스 구성docker-compose up
으로 서비스 실행
마무리
이번 7주차를 통해 Container와 Docker, 그리고 Kubernetes 아키텍처의 관계와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Docker Compose를 활용한 멀티 컨테이너 구성 자동화 방법도 익히면서 실전 활용에 한걸음 가까워졌다.
비록 수업 참여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영상 강의를 통해 복습하며 놓친 부분을 보완했고,
다가오는 8주차에는 더 집중하여 Kubernetes 네트워크 구조와 컨테이너 통신 방식에 대해
심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된다.
앞으로는 Docker와 Kubernetes의 실무 응용을 더욱 강화하고,
DevOps와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배운 모든 내용을 실무에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지,
꾸준한 기록과 실습으로 증명해 나가려고 한다.
"기초가 단단하면 어디든 올라갈 수 있다. 천천히, 꾸준하게, 확실하게!"
'교육, 커뮤니티 후기 > Cloud Security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Security 9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0) | 2022.04.21 |
---|---|
Cloud Security 8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0) | 2022.04.07 |
Cloud Security 6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0) | 2022.03.20 |
Cloud Security 5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0) | 2022.03.06 |
Cloud Security 4주차 과제 및 수업내용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