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이전 글에서 이론적으로 학습한 Kubernetes의 Service 오브젝트에 대해, 이번에는 실습을 통해 직접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졌다.Pod를 외부 또는 클러스터 내에서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노출하는 다양한 Service 타입 중,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동작 방식과 네트워크 흐름을 확인했다. 실습은 사내의 3대 VM 환경(dh-k8s-master, dh-k8s-node, dh-k8s-node2)에서 진행되었으며,실제 요청을 curl 명령어로 수행하면서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트래픽 분산, 접근 범위,그리고 externalTrafficPolicy에 따른 트래픽 라우팅의 차이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었다. 2022.08.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