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80

Helm Chart 생성 및 패키징 (gh-pages)

Overview생성한 Kubernetes Operator를 Helm Chart 생성하고 패키징하여 github gh-pages 브랜치에 hosting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https://github.com/somaz94/helios-lb GitHub - somaz94/helios-lb: helios-lbhelios-lb. Contribute to somaz94/helios-lb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 관련 글 2022.09.06 - [Container Orchestration/Kubernetes] - Helm 이란? (Kubernetes Package manager)2023.05.16 - [Container Orc..

Kubernetes Operator(CRD, CR) 생성(With kubebuilder)

OverviewKubebuilder를 활용해서 Kubernetes Operator를 생성해본다.  📅 관련 글2024.04.15 - [Container Orchestration/Kubernetes] - Kubernetes Operator 및 Custom Resource Definitions(CRDs) 이해하기   Kubebuilder란?Kubebuilder는 Kubernetes 운영자를 구축하기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이다. scaffolding, 코드 생성 및 Kubernetes 도구와의 통합을 제공하여 맞춤형 컨트롤러 및 API 개발을 단순화한다.Kubernetes Operator는 커스텀 리소스(CRD)를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는 커스텀 컨트롤러이다.​ Kubebuild..

Kubernetes Operator 및 Custom Resource Definitions(CRDs) 이해하기

OverviewKubernetes Operator와  Custom Resource Definitions (CRDs) 대해서 알아본다.   Kubernetes Operator Kubernetes 생태계에서 Operator는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 배포, 관리하는 방법이다.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은 Kubernetes에 배포되고 Kubernetes API 및 kubectl 도구를 사용하여 관리된다. Operator는 클러스터 상태를 감시한 다음 필요한 경우 변경을 수행하거나 요청하는 루프인 컨트롤러의 Kubernetes 원칙을 따른다. Operator는 Kubernetes를 확장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수명주기 관리를 자동화한다. ​ 왜 Operator를 사용해야 할까?Ku..

Kubernetes Headless Service란?

OverviewKubernetes에서 일반적인 Service는 클러스터 내의 파드들 사이에 로드 밸런싱과 가상 IP(ClusterIP)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나 Stateful 애플리케이션처럼 각 파드에 직접적인 네트워크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로 Headless Service이다. `Headless Service는 clusterIP: None`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DNS를 통해 각 파드의 개별 IP를 직접 노출시켜준다.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는 파드 하나하나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이는 클러스터링 기반 DB 시스템(Cassandra, MongoDB 등)이나 StatefulSet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

AWS DynamoDB란?

OverviewAmazon DynamoDB는 AWS가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성능과 높은 확장성을 요구할 때 이상적인 선택이다.테이블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 저장 구조와 자동 확장 기능, 그리고 AWS 서비스와의 밀접한 통합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게임, IoT, 모바일 백엔드,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실시간 기반 워크로드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DynamoDB Streams와 Lambda를 활용하면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DynamoDB의 핵심 개념, 기능, 사용 사례, 다른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등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 관련 글20..

AWS 2024.11.27

Kubernetes Deployment Strategy

OverviewKubernetes Deployment Strategy 에 대해서 알아본다.  Kubernetes Deployment Strategy란?Kubernetes에서 배포 전략(deployment strategies) 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버전 또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배포할 때, Pod(또는 Pod 집합)를 어떻게 업데이트할지 정의합니다. 주요 배포 전략은 두 가지이다.RollingUpdate (기본 전략)Recreate RollingUpdate (기본값)RollingUpdate는 Kubernetes의 기본값이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략이다. 배포 내의 Pod을 점진적으로 업데이트롤링 업데이트 동안 Kubernetes는 새로운 버전의 Pod을 생성하고, 동시에 오래된 Pod을 소규모 배치로 종료..

[IT 용어 5.] CI/CD란?

Overview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 CD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에 대해서 알아본다.   CI/CD란? 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지속적 통합은 개발자들이 작업한 코드를 주기적으로 공유 레포지토리에 합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은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를 포함하여, 코드 변경 사항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지 확인한다. 지속적 통합의 주요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CD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지속적 배포는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까지 자동으로 배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지..

IT 용어 2024.11.25

EKS Pod Identity Addon

OverviewAmazon EKS Pod Identity는 EKS에서 Kubernetes 서비스 계정과 IAM 역할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Pod 단위의 AWS 자격 증명 제공을 자동화하는 기능이다.2023년 12월 정식 출시되었으며, 기존 IRSA(서비스 계정용 IAM 역할) 방식보다 구성 및 운영이 간단하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EKS Pod Identity는 클러스터에 별도의 OIDC 설정 없이 IAM 역할을 매핑할 수 있어, 멀티 클러스터 환경이나 CI/CD 자동화, 보안 통제에 탁월한 기능이다. 본 글에서는 기존 IRSA와의 차이점, 작동 원리, 실습 방법, 실무 활용 포인트까지 모두 정리한다.       📅 관련 글2022.02.13 - [AWS] - AWS IAM (Identity and A..

AWS 2024.11.24

[IT 용어 4.] Semantic Versioning (SemVer)란?

Overview Semantic Versioning(SemVer) 에 대해서 알아본다.   Semantic Versioning (SemVer)란? Semantic Versioning(SemVer)은 소프트웨어 릴리스에 의미 있는 버전 번호를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버전 관리 체계이다. 이는 개발자와 사용자가 새 릴리스의 변경 사항과 프로젝트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SemVer 형식SemVer의 버전 번호는 다음 형식을 따른다.MAJOR.MINOR.PATCHMAJOR: 호환되지 않는 변경을 수행할 때 증가예: 1.0.0 → 2.0.0MINOR: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기능을 추가하면 증가예: 1.0.0 → 1.1.0PATCH: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버그를 수정하면 증가예: 1.0..

IT 용어 2024.11.23

[CS 지식18.] Quantum Computing(양자 컴퓨팅)

Overview양자 컴퓨팅(Quantum Computing)은 기존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차세대 컴퓨팅 기술이다.기존 컴퓨터는 비트(Bit)를 이용해 0 또는 1로 데이터를 표현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Qubit)를 활용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이러한 ‘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 등의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면 특정 복잡한 계산을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암호 해독, 신약 개발, 최적화 문제 해결 등 현재의 컴퓨팅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IBM, Google, D-Wave, Rigetti 등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 중인 핵심 기술 중 하나다.      📅 관련 글2023..

CS 지식 2024.11.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