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verview
오늘은 OpenStack이 무엇인지, 그 개념과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OpenStack이란?
OpenStack은 풀링된 가상 리소스를 사용하여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OpenStack의 특징
- 컴퓨팅(Compute), 네트워킹(Networking), 스토리지(Storage), 인증(Authentication) 및 이미지 서비스(Imaging)와 같은 핵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 풀링된 자원을 관리하여 인프라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
- 다양한 하이퍼바이저 및 하드웨어 환경에서 동작하며, 기업 및 연구 기관에서 많이 사용된다.
- AWS, GCP, Azure 등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형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플랫폼이다.
OpenStack의 활용
-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
- 퍼블릭 클라우드 구축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통합 운영
- 대규모 데이터센터에서의 리소스 자동화 및 오케스트레이션
OpenStack의 주요 구성 요소
OpenStack은 다양한 서비스를 모듈화하여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개별 프로젝트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핵심 서비스
프로젝트명 | 서비스 역할 | 설명 |
Nova | Compute | 가상 머신(VM) 및 리소스를 관리하는 오픈스택의 핵심 컴퓨팅 서비스 (AWS EC2와 유사) |
Neutron | Networking | Software Defined Networking(SDN)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
Cinder | Block Storage | VM에 연결되는 영구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AWS EBS와 유사) |
Swift | Object Storage |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 (AWS S3와 유사) |
Glance | Imaging | VM 이미지를 저장/관리하는 서비스 (QCOW2, RAW, VMDK 등 지원) |
Keystone | Identity | 인증 및 권한 관리 서비스 (사용자 계정, 인증 토큰, 역할 기반 접근 제어) |
Horizon | Dashboard | 웹 기반 대시보드를 제공하는 UI 서비스 |
Heat | Orchestration | 클라우드 리소스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AWS CloudFormation과 유사) |
Ceilometer | Telemetry | 모니터링 및 메트릭 수집 서비스 |
Trove | Database |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MySQL, PostgreSQL 등 지원) |
왜 OpenStack을 '클라우드 운영체제'라고 부를까?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OpenStack과 일반적인 서버 컴퓨터의 OS 구성 요소를 비교해 본다.
OS 구성 요소 | 역할 | OpenStack 서비스 |
Scheduler | 서버 자원 관리 | Nova |
Server Virtualization | VM 관리 | Glance |
File System | 오브젝트 파일 시스템으로 컨텐츠 저장 | Swift |
User API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접근 관리 | Nova, Glance, Swift |
- OpenStack은 데이터센터 전체를 하나의 대형 컴퓨터처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즉, OpenStack의 Nova는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스케줄러 역할을 수행하며, Glance는 가상 머신 이미지를 관리하는 서버 가상화(VM) 역할을 한다.
- 이처럼 OpenStack은 개별 물리 서버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을 운영하는 운영체제로 볼 수 있다.

OpenStack의 장단점
OpenStack의 장점
✔ 오픈소스 프로젝트
- 라이선스 비용 없음 →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
- 다양한 기업과 커뮤니티가 기여하여 지속적인 발전
✔ 대규모 커뮤니티 지원
- Red Hat, Canonical, VMware, SUSE 등 글로벌 기업이 참여
- 방대한 문서와 포럼을 통해 기술 지원 가능
✔ 다양한 하이퍼바이저 지원
- KVM, Xen, VMware ESXi, Hyper-V 등 멀티 하이퍼바이저 환경 지원
- 특정 벤더 종속 없이 인프라 구축 가능
✔ 확장성과 유연성
- 멀티 테넌트 지원
- 필요에 따라 원하는 모듈을 선택하여 구축 가능
✔ 멀티 클라우드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 가능
- AWS, Azure, GCP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와 연동 가능
- 기업 내부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는 강력한 솔루션
OpenStack의 단점
🚫 복잡한 구축 과정
- 클라우드, 네트워크, 하이퍼바이저 등의 심층적인 기술 지식 필요
- 초기 설정 및 운영 자동화에 많은 노력이 필요
🚫 문제 발생 시 높은 유지보수 난이도
- 배포 환경에 따라 이슈 발생 가능성이 높음
- AWS, GCP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대비 문제 해결을 위한 문서와 공식 지원이 부족
🚫 높은 인프라 요구 사항
- 소규모 환경에서는 유지보수 비용이 클 수 있음
- 대규모 클러스터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HA(고가용성) 구성이 필수
결론
- OpenStack은 오픈소스 기반의 강력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을 위한 확장성 높은 솔루션이다.
- Nova(컴퓨트), Neutron(네트워크), Swift(스토리지) 등의 모듈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연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그러나 설치 및 운영이 복잡하며, 특정 퍼블릭 클라우드(AWS, GCP) 대비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따라서 OpenStack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네트워크 구조, 가상화 기술, 오케스트레이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Reference
728x90
반응형
'Open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tack Keystone이란? (identity) (0) | 2022.08.08 |
---|---|
Openstack Glance란? (image) (0) | 2022.08.08 |
Openstack 배치 서비스 Placement란? (0) | 2022.08.08 |
Openstack Neutron이란? (network) (0) | 2022.08.08 |
Openstack Nova란? (compute)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