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S3 맛보기

Somaz 2022. 2. 13. 23:04
728x90
반응형

AWS S3

 

AWS S3는 스토리지 서비스(Storage Service)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특정한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사용 예시는 매우 광범위합니다.

게시판 웹 사이트를 개발 할 때 이미지 파일만을 S3에 저장할 수 있으며,

특정한 로고 사진 등을 S3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사진 파일을 다운로드 받도록 처리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S3에서 객체(Object)란 저장되는 파일을 의미하고, 버킷(Bucket)은 파일이 저장될 프로젝트를 의미합니다.

 

AWS S3 서비스에 파일 올리기

 

바로 한 번 AWS S3 서비스를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3를 선택해 줍니다!!

 

AWS S3에서는 [버킷 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버킷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것입니다.

 

[버킷 이름]은 다른 서버와 겹치지 않는 고유한 이름이 되어야 합니다. 리전(Region)은 일반적으로 S3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설정합니다.

 

이후에 [권한 설정] 탭에서는 실습을 위하여 일단 간단히 퍼블릭(Public) 공간에서 누구든지 접속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권장 사항으로 제시되어 있는 모든 권한 정책에 체크를 풀어줍니다.

 

[버킷 만들기] 를 선택해 줍니다.

 

이후에 만들어진 S3 버킷을 확인 합니다.

 

이후에 실습을 위하여 두 개의 파일을 이용하겠습니다. 약간 무거운 파일(5 MB 파일)과 가벼운 파일(1KB 미만)을 준비했습니다. 이 두 개의 파일을 버킷 내에 업로드하여 확인하고자 합니다.

example.zip.zip
5.20MB
index.txt.txt
0.00MB

 

업로드!!

 

두 파일이 올라간 뒤에는 언제든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이제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특정한 파일을 누르면   퍼블릭(Public)에서 접근 가능한 URL 경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해당 경로에 접속을 해보면 접근 불가(Access Denied)라고 출력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버킷 퍼블릭 설정!

 

먼저 나는 S3 버킷을 만들 때 객체 소유권을 비활성화 해놓지 않아서 퍼블릭 설정이 되지 않아 한참 찾았다!! 다들 체크 잘하길 바란다

 

퍼블릭 설정!!

 

[퍼블릭으로 설정] 클릭!!

 

출력이 아주 잘된다!

 

 

버킷 정책 수정하기

 

다만 이렇게 일일히 파일을 [퍼블릭으로 설정]하는 것을 귀찮은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범위의 파일에 대해서 전부 한꺼번에 [퍼블릭으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권한] 탭으로 가서 [버킷 정책]을 수정하여 버킷 내에 모든 파일들이 퍼블릭(Public)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 들어가는 내용은 [정책 생성기]를 통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정책 성생기] 클릭

 

 

그리고 &Resource 에는 자신의 AWS S3 고유 경로 를 넣은 뒤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의 URL 을 설정합니다. 파일의 URL /* 라고 넣어주게 되면 해당 버킷 내의 모든 객체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이제 [Generate Policy] 버튼을 눌러서 실제로 정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생성된 정책 내용을 복사하여 [버킷 정책]의 내용으로 붙여넣기 합니다. 
변경사항 저장!!

 

다운로드가 아주 잘된다!! 이제 [퍼블릭으로 설정]을 진행하지 않은 Example.zip 파일에 대해서도 URL 경로에 접속 하면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모든 파일에 누구든지 접근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IAM이란?  (0) 2023.03.30
AWS S3 권한이란?  (0) 2023.03.29
AWS S3란?(개념, 속성)  (0) 2023.03.28
AWS IAM MFA 맛보기  (0) 2022.02.13
AWS EC2 인스턴스 생성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