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 21

AWS DynamoDB란?

OverviewAmazon DynamoDB는 AWS가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성능과 높은 확장성을 요구할 때 이상적인 선택이다.테이블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 저장 구조와 자동 확장 기능, 그리고 AWS 서비스와의 밀접한 통합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게임, IoT, 모바일 백엔드,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실시간 기반 워크로드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DynamoDB Streams와 Lambda를 활용하면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DynamoDB의 핵심 개념, 기능, 사용 사례, 다른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등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 관련 글20..

AWS 2024.11.27

Kubernetes Deployment Strategy

OverviewKubernetes Deployment Strategy는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이다.  기본적으로 Kubernetes는 RollingUpdate 전략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Pod를 교체하지만,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전략을 선택하거나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RollingUpdate: 기존 Pod를 하나씩 교체하며 가용성을 유지 (기본값)Recreate: 모든 기존 Pod를 제거한 후 새 버전을 일괄 생성 (다운타임 발생)Blue/Green: 별도 환경을 구성하여 스위칭 기반 배포 (빠른 롤백 가능)Canary: 일부 사용자 대상으로 점진적 배포 후 트래픽 확장 (실사용 기반 검증)..

[IT 용어 5.] CI/CD란?

OverviewCI/CD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에서 핵심적인 자동화 전략으로, 코드 통합부터 테스트, 빌드, 배포까지의 전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개발 생산성과 서비스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이다.CI (지속적 통합)는 개발자들이 변경한 코드를 공유 저장소에 자주 통합하며, 자동 테스트 및 빌드로 오류를 빠르게 식별한다.CD (지속적 배포)는 이 통합된 코드를 고객 환경까지 자동 배포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CI/CD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팀의 협업 방식과 고객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하는 DevOps 및 Agile 개발 문화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 관련 글https://somaz.tistory.com/category/IaC/CI%2..

IT 용어 2024.11.25

EKS Pod Identity Addon

OverviewAmazon EKS Pod Identity는 EKS에서 Kubernetes 서비스 계정과 IAM 역할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Pod 단위의 AWS 자격 증명 제공을 자동화하는 기능이다.2023년 12월 정식 출시되었으며, 기존 IRSA(서비스 계정용 IAM 역할) 방식보다 구성 및 운영이 간단하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EKS Pod Identity는 클러스터에 별도의 OIDC 설정 없이 IAM 역할을 매핑할 수 있어, 멀티 클러스터 환경이나 CI/CD 자동화, 보안 통제에 탁월한 기능이다. 본 글에서는 기존 IRSA와의 차이점, 작동 원리, 실습 방법, 실무 활용 포인트까지 모두 정리한다.       📅 관련 글2022.02.13 - [AWS] - AWS IAM (Identity and A..

AWS 2024.11.24

[IT 용어 4.] Semantic Versioning (SemVer)란?

OverviewSemantic Versioning (SemVer)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의미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전 체계이다.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니라 버전 번호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가 변경의 영향 범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SemVer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된다.MAJOR.MINOR.PATCH`MAJOR`: 호환되지 않는 변경이 있을 때 증가`MINOR`: 호환되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 증가`PATCH`: 호환되는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을 때 증가  이러한 규칙은 버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팀 간 협업 및 라이브러리 소비자와의 신뢰 있는 계약(contract) 을 제공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또한, `alpha, beta, rc` 와..

IT 용어 2024.11.23

[CS 지식18.] Quantum Computing(양자 컴퓨팅)

Overview양자 컴퓨팅(Quantum Computing)은 기존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차세대 컴퓨팅 기술이다.기존 컴퓨터는 비트(Bit)를 이용해 0 또는 1로 데이터를 표현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Qubit)를 활용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이러한 ‘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 등의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면 특정 복잡한 계산을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암호 해독, 신약 개발, 최적화 문제 해결 등 현재의 컴퓨팅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IBM, Google, D-Wave, Rigetti 등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 중인 핵심 기술 중 하나다.      📅 관련 글2023..

CS 지식 2024.11.22

ALB access Log 활성화 → S3 권한 설정 및 로그 저장

Overview이 글에서는 AWS Application Load Balancer(ALB)의 Access Log 기능 활성화부터 S3 권한 설정, 그리고 로그 저장 방식까지 실무 중심으로 자세히 정리했다.ALB의 접근 로그는 보안 및 트래픽 분석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로, 로그를 안정적으로 수집하고 저장하기 위한 S3 버킷 구성이 필수이다. 특히 Kubernetes 환경에서는 `alb.ingress.kubernetes.io/load-balancer-attributes` 어노테이션을 통해 손쉽게 로그 설정이 가능하며, 서비스 주체(logdelivery.elasticloadbalancing.amazonaws.com)를 활용한 정확한 S3 권한 정책 구성이 핵심이다.       📅 관련 글2022.02.13 -..

AWS 2024.11.21

[MAC] 스페이스바 , 백스페이스 입력 시 점(.) 제거하기

OverviewMac 스페이스바 , 백스페이스 입력시 점(.)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MAC 점(.) 제거하기   키보드 설정손쉬운 사용 → 키보드 → 전체 키보드 접근 → 키보드 설정 → 키 반복 속도, 반복 지연 시간 빠르게(입력속도 향상)  키보드 → 텍스트 입력 → 편집 → 스페이스바 두 번 눌러 마침표 추가        Referencehttps://blog.naver.com/aystudio/222927130424

Mac Setting 2024.11.20

리눅스 Swap 메모리란?

OverviewLinux 스왑 메모리는 시스템의 물리적 RAM(Random Access Memory)이 완전히 활용될 때 사용되는 디스크 공간이다. 이는 RAM의 오버플로 영역 역할을 하여 실행 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를 수용하기에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도 운영 체제가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Swap 메모리란?스왑 공간은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예약된 스토리지 드라이브(예: SSD 또는 HDD)의 일부이다. 디스크 I/O 작업이 포함되므로 실제 RAM보다 느리지만 RAM이 과도하게 커밋되면 대체 기능을 제공한다.​  Swap 작동방식응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에 사용 가능한 RAM보다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한 경우 Linux는 비활성 메모리 페..

Linux 2024.11.19

[IT 용어 3.] JWT(JSON Web Tokens)란?

Overview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과 정보 교환은 보안성과 효율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JWT(JSON Web Tokens)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인증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JWT는 간결하면서도 URL-safe한 형식으로 인증 토큰을 전송하며, 디지털 서명을 통해 위변조를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암호화도 가능하게 한다.   본 문서에서는 JWT의 기본 개념, 구조, 동작 방식, 그리고 실전 활용 방법에 대해 다루어본다.         JWT(JSON Web Tokens)란?JSON 웹 토큰(JWT) 은 두 당사자 간에 전송될 클레임을 나타내는 URL 안전 방식의 간결한 수단이다. JWT 내의 클레임은 JSON 객체로 인코딩되며, JSON 웹 서명(JWS)을 사용하여..

IT 용어 2024.11.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