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커뮤니티 후기/Cloud Security 교육

Cloud Security 1주차 과제 및 수업 내용

Somaz 2022. 2. 7. 09:26
728x90
반응형

 

Overview

1주차의 핵심 주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전체 구조를 이해하고 IaaS, PaaS, SaaS의 개념과 사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의 인프라 전환 흐름 속에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어떻게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이번 수업은 클라우드 입문에 필요한 기초 개념을 정립하고, 과정 전체에 대한 큰 그림을 잡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2주차부터 진행될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별 학습을 위한 기반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1주차 주제: 클라우드 전체 구조 및 서비스 파악

 

 

Object

클라우드 전체 구조 및 서비스 파악을 통해 클라우드 이해

 

 

 

Key Result

각 클라우드 서비스 사례 3개 이상 조사하고
IaaS, PaaS, SaaS의 구조와 차이를 명확히 정리 (1Page 문서)

 

 

 

1주차 수업 구성

시간 내용
10:00 ~ 10:20 근황 토크 및 멘토 피드백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 진행)
10:25 ~ 10:45 클라우드의 개요 및 도입 배경 설명
10:50 ~ 11:10 클라우드 시큐리티 2기 커리큘럼 소개 및 차별화 포인트 안내
11:15 ~ 11:35 멘토의 클라우드 실무 경험담 공유
11:40 ~ 12:00 2주차 수업을 위한 실습 준비 안내 및 개요 정리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 클라우드란?
    인터넷 기반의 가상화된 자원(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료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 서비스 유형 분류
     
    유형 설명 예시 및 사례
    IaaS 인프라를 가상화하여 제공 (서버, 네트워크 등) 네이버클라우드 기반 금융권 클라우드 인프라 (기사)
    PaaS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 엔씨소프트의 PaaS 기반 게임 개발 환경 (기사)
    SaaS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크리니티 공공 SaaS 메일 플랫폼 (기사)

 

 

 

정리 요약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해 제공
  • 기업이 유연하게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음

 

PaaS (Platform as a Service)

  • 개발자가 OS, 런타임, DB 등을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개발만 집중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
  • CI/CD 환경과의 결합이 용이

 

SaaS (Software as a Service)

  • 메일, ERP, 협업 툴 등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구독 형태로 제공
  • 클라이언트가 유지보수나 보안 등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됨

 

 

 

 


 

 

마무리

1주차 수업을 통해 클라우드의 개념, 서비스 유형, 그리고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클라우드가 어떻게 우리 삶과 기업 환경에 녹아들고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었다.

 

특히 멘토님의 현업 경험 공유와 함께, 단순한 개념 암기를 넘어서
실무에서 클라우드가 어떤 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다.

 

아직 시작이지만, 이 과정을 끝마쳤을 때


"클라우드를 제대로 이해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해 있을 내 모습을 상상하며,
첫걸음을 내디뎠다. 앞으로도 매주 꾸준히 실습하고 기록하면서 한층 더 성장해 나갈 예정이다.

 

"큰 그림을 이해하면 세부는 따라온다. 클라우드는 결국 이해의 총합이다."

 

 

 

 

 

 

 


Reference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121402109919613001&ref=naver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05784

https://www.ajunews.com/view/2020103009100667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