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많은 사람들은 웹(Web)과 인터넷(Internet)이 실제로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이지만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웹은 인터넷 위에서 작동하는 정보 공간이다. 웹은 웹페이지라는 문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문서들은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하이퍼링크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은 웹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웹은 인터넷의 일부에 불과하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수많은 서비스 중 하나이다.
쉽게 말하자면 인터넷은 많은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시스템이고, 웹은 휴게소, 주유소, 편의점 등의 정류장을 모아 놓은 것이다.
- 웹1.0: 정적인 정보 제공 (읽기 전용 웹)
- 웹2.0: 사용자 참여 중심 (읽고, 쓰는 웹)
- 웹3.0: 분산형, 블록체인 기반 웹 (읽고, 쓰고, 실행하는 웹)
이 글에서는 웹1.0, 웹2.0, 웹3.0의 차이점과 특징, 발전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 관련 글
2023.01.13 - [CS 지식] - [CS 지식1.] 웹 브라우저의 동작원리
2023.02.23 - [CS 지식] - [CS 지식2.] DNS의 동작원리(Domain Name System)
2023.03.06 - [CS 지식] - [CS 지식3.] HTTP / HTTPS 란?
2023.03.07 - [CS 지식] - [CS 지식4.] OSI 7계층 & TCP/IP 4계층이란?
2023.03.17 - [CS 지식] - [CS 지식5.] 가상화란?
2023.05.24 - [CS 지식] - [CS 지식6.] HTTP 메서드(Method)란? / HTTP Status Code
2023.12.05 - [CS 지식] - [CS 지식7.] Kubernetes 구성요소와 Pod 생성 방식이란?
2023.12.19 - [CS 지식] - [CS 지식8.]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란?
2023.12.30 - [CS 지식] - [CS 지식9.] 클라우드 컴퓨팅이란?(Public & Private Cloud / IaaS SaaS PaaS / Multitenancy)
2024.01.05 - [CS 지식] - [CS 지식10.] 웹1.0(Web1.0) vs 웹2.0(Web2.0) vs 웹3.0(Web3.0)
2024.02.02 - [CS 지식] - [CS 지식1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2024.05.22 - [CS 지식] - [CS 지식13.] 동기 및 비동기 처리란?
2024.05.23 - [CS 지식] - [CS 지식14.] 3tier 아키텍처란?
2024.08.28 - [CS 지식] - [CS 지식15.] SSR vs CSR vs ISR vs SSG
2024.11.09 - [CS 지식] - [CS 지식16.] stdin(표준입력) vs stdout(표준출력) vs stderr(표준에러)
2024.11.11 - [CS 지식] - [CS 지식17.] IPsec vs SSL/TLS
2024.11.22 - [CS 지식] - [CS 지식18.] Quantum Computing(양자 컴퓨팅)
웹1.0(Web1.0) vs 웹2.0(Web2.0) vs 웹3.0(Web3.0)
인터넷의 발전을 통해 등장한 웹1(Web1.0), 웹2(Web2.0), 웹3(Web3.0)은 각기 다른 특성과 기술을 대표한다. 이들의 발전 과정은 인터넷의 사용 방식과 인터넷 기술의 변화를 반영한다.
웹1 (Web 1.0)
✔ 개요
웹1.0은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웹을 의미하며,
사용자들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단순히 읽을(Read-Only) 수 있었다.
특징
✅ 정적 콘텐츠 (Static Content): 웹페이지는 HTML로 작성된 고정된 정보 제공
✅ 단방향 정보 전달 (One-Way Communication): 사용자 입력 없이 운영자가 제공하는 정보만 확인 가능
✅ 기본적인 디자인: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기반 페이지 (ex: 1990년대 초기 웹사이트)
✅ 데이터 저장 방식: 웹 서버 중심의 중앙화된 데이터 저장
대표적인 웹1.0 서비스
- 야후!(Yahoo!) – 정적인 포털 사이트
- 알타비스타(Altavista) – 검색 엔진 초기 모델
- 넷스케이프(Netscape) – 초창기 웹 브라우저
💡 한계점
- 사용자의 참여 부족 (읽기 전용)
- 웹사이트 업데이트가 어렵고 자동화 기능 부족
- 동적 페이지 제공이 불가능
웹2 (Web 2.0)
✔ 개요
웹2.0은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발전해온 인터넷의 형태로,
사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참여형 웹(Read-Write Web) 이다.
특징
✅ 사용자 생성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 블로그, 위키, 소셜 미디어 등의 등장
✅ 양방향 소통 (Two-Way Communication): 댓글, 리뷰, 게시글 작성 가능
✅ 동적 콘텐츠 (Dynamic Content): AJAX, JavaScript 등 활용하여 실시간 콘텐츠 제공
✅ 중앙화된 플랫폼 (Centralized Platforms): 대기업(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
대표적인 웹2.0 서비스
-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트위터(Twitter) – 사용자 중심의 소셜 미디어
- 위키피디아(Wikipedia) – 협업형 지식 공유
- 넷플릭스(Netflix), 아마존(Amazon) – 사용자 데이터 기반 개인화 추천 서비스
💡 한계점
- 데이터 중앙화 문제: 사용자 데이터가 소수의 기업에 집중
- 개인정보 보호 문제: 개인정보 유출 및 악용 가능성 증가
- 플랫폼 의존성: 기업 정책에 따라 콘텐츠가 검열되거나 차단될 위험
웹3 (Web 3.0)
✔ 개요
웹3.0은 블록체인 기술과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를 기반으로
데이터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웹(Read-Write-Execute Web) 이다.
특징
✅ 탈중앙화 (Decentralization): 블록체인 기반으로 데이터 분산 저장
✅ 사용자 주권 (User Ownership):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
✅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s): 중개자 없이 자동으로 계약 이행 (예: 이더리움)
✅ 토큰 경제 (Token Economy): 암호화폐 및 NFT를 활용한 경제 활동 가능
✅ AI & 머신러닝 (AI & Machine Learning): 사용자의 선호도 학습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대표적인 웹3.0 서비스
-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 블록체인 기반 결제 및 스마트 계약
-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 탈중앙화 데이터 저장 시스템
- 디앱(DApps, Decentralized Apps) –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 한계점
- 블록체인 기술의 높은 진입 장벽
- 스마트 계약의 보안 취약점
- 현재는 초기 단계로 인프라 부족
웹1.0 vs 웹2.0 vs 웹3.0 비교 (한눈에 정리)
구분 | 웹1.0 (Web 1.0) | 웹2.0 (Web 2.0) | 웹3.0 (Web 3.0) |
핵심 개념 | 읽기(Read-Only) | 읽기-쓰기(Read-Write) | 읽기-쓰기-실행(Read-Write-Execute) |
주요 특징 | 정적 웹사이트, 정보 제공 | 사용자 생성 콘텐츠, 소셜 미디어 | 블록체인, 탈중앙화, 스마트 계약 |
데이터 저장 | 중앙 서버 | 클라우드 (대기업 관리) | 분산형 저장 (블록체인) |
보안 및 프라이버시 | 낮음 | 사용자 데이터 수집 문제 | 높은 보안, 데이터 주권 |
주요 기업 | 야후, 넷스케이프 |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 이더리움, 비트코인, IPFS |
수익 모델 | 광고 기반 | 데이터 활용 및 광고 | 암호화폐, NFT, DeFi |
마무리: 웹의 미래, 웹3.0으로 가는 길
현재 웹3.0은 웹1.0(정보 중심) → 웹2.0(참여 중심)을 넘어 탈중앙화와 사용자 주권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웹1.0 → 정보를 찾고 소비하는 시대
✔ 웹2.0 → SNS, 블로그, 유튜브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
✔ 웹3.0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반의 탈중앙화된 인터넷 환경
웹3.0은 기존의 중앙화된 인터넷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NFT, 메타버스, 탈중앙화 금융(DeFi) 등 새로운 경제 모델을 형성하고 있다.
💡 웹3.0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블록체인과 AI 기술이 결합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앞으로 웹3.0이 대중화될지, 혹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지 주목해야 한다.
Reference
https://www.tech42.co.kr/웹-3-0의-개념과-웹-1-0-웹-2-0-비교/
https://www.simplilearn.com/what-is-web-1-0-web-2-0-and-web-3-0-with-their-difference-article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지식12.] SSO(Single Sign-On)란? (With OAuth SAML OIDC) (0) | 2024.03.23 |
---|---|
[CS 지식1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0) | 2024.02.21 |
[CS 지식9.] 클라우드 컴퓨팅이란?(Public & Private Cloud / IaaS SaaS PaaS / Multitenancy) (0) | 2023.12.30 |
[CS 지식8.] 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란? (1) | 2023.12.27 |
[CS 지식7.] Kubernetes 구성요소와 Pod 생성 방식이란? (2) | 2023.12.18 |